STM32 STM32CubeMX로 먼저 설정 했다고 가정해서 만든 코드 테스트입니다. 인터럽트 방식인데 먼저 Rxbuffer에 값을 읽어서 넣은 뒤, 그 값을 printf을 이용해 터미널에 표시해주는 방식입니다. #include "main.h"#include "stm32f1xx_hal.h" UART_HandleTypeDef huart1; // UART핸들 타입 구조체 선언 void SystemClock_Config(void);static void MX_GPIO_Init(void);static void MX_USART1_UART_Init(void); uint8_t Rxbuffer1[10] = ""; // 버퍼 사이즈 10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받아드리는 메모리 영역 int main(void){ HAL_Ini..
레지스터를 이용한 LED 점등 코드 ※ 누구를 가르치기 위한 글이 아닙니다. 그 전 용어 정리 CRL - Port Control Register lowCRH - Port Control Register HighIDR - Input Data RegisterODR Output Data Register BSRR Bit Set Reset Register // HIGH로 Set BRR Bit Reset Register // LOW로 SetLCKR Lock Register while (1) {GPIOx->ODR ^= GPIO_PIN_i; // x : A, B, C ... GPIO를 이용하는 영역, i : 그 영역에서 몇 번째 핀을 이용 }
그 동안 사놓고 고이 모셔두웠던 이게 바로 STM32F103C8 보드 한번 테스트 해보았습니다. A1핀과 A0핀을 이용해 작동 시켜보았다. STM32F103C8 보드 전 인턴 생활하면서 8051칩셋을 아주 쪼금 건들여 본적이 있는데 그때는 데이터 시트를 보고 각 핀마다 직접 값을 설정해주고, 어떻게 작동시킬 건지 일일히 다 하나하나 해줘야됬지만, STM32F103C8의 경우에는 그 STM32cubemix를 이용해 코드 생성하면 예제들이 있어 손 쉽게 건들일 수 있었다. 게다가 내 생각이지만.. 아두이노의 IDE 코드와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다. 아직은 초보라서, 좀더 해보고 판단하는 것이 나을 것이라 생각 된다.